백두대간
은티마을→주치봉안부→희양산→성곽갈림길→성골(봉암사)
개념도
희양산 전경
희양산에서
희양산에서 바라본 봉암사의 모습
봉암사
봉암사
봉암사
봉암사에서 바라본 구왕봉(왼쪽)과 희양산(오른쪽)
봉암사
봉암사 일주문
봉암사
희양산과 시루봉 사이에 있는 성곽(희양산성)갈림길
봉암사 측에서 등산로를 폐쇄시켰다(01.06.17)
성곽갈림길에서(01.06.17)
463번째 산행이야기
백두대간 43번째
은티마을→주치봉안부→희양산→성곽갈림길→성골(봉암사)
1.날 짜: 2003년 5월 8일(목요일. 석가탄신일)
2.날 씨: 구름
3.참가인원: 2명
4.일정 및 산행코스:
♣동서울터미널(시외버스: \9,200)→수안보터미널(택시: \16,000)→은티마을
♣은티마을→주치봉(683m)안부→성곽갈림길→성골→봉암사
♣봉암사(포장도로 도보)→신상괴(트럭 히치하이크)→상괴3거리(포장도로 도보)→함박골(승용차 히치하이크)→가은터미널
♣가은터미널(시외버스: \12,300)→동서울터미널
5.산행시간
-06:40 동서울터미널 발(수안보 행 첫 차)
-연풍 행은 08:35, 10:35
-08:40 수안보터미널 착 / -08:43 발
-택시(기본요금: \1,500)를 이용하여 은티마을 도착
-09:02 은티마을 착 / -09:07 발(산행시작)
-09:41 호리골재 (이정표 있음)
-10:06 주치봉(683m) 동쪽 안부(대간 복귀)
-10:17 680m봉 착 / -10:27 발
-10:55 830m봉
-11:04 구왕봉(九王峰 877m. 공터, 조망 없음)
-이후 내리막 급경사 조심
-11:25 지름티재(사거리 안부)
-봉암사 스님이 텐트치고 주둔하여 입산통제 하는데 사정사정하여 통과함.
-11:35 지름티재 발
-11:45 바위지대(석굴 있음) 착(점심식사) / -12:05 발
-12:44 희양산 갈림길
-12:55 희양산(曦陽山 998m) 정상
-13:04~13:14 휴식
-13:18 희양산 갈림길 원위치
-13:26 성곽갈림길(사거리 안부. 조릿대 많음)
-성골로 하산
-14:40 성골마을 착 / -14:55 발
-15:00 봉암사<음력 사월초파일 하루 개방하는 사찰) 착 / -15:50 발
-이후 히치하이크 ․ 도보로 가은터미널 도착
-18:20 가은터미널 발(가은에서 동서울 행 하루 3회)
-21:20 동서울터미널 착
-22:10 귀가
은티마을-(0:50)-주치봉안부-(0:45)-구왕봉-(0:20)-지름티재-(0:50)-희양산갈림길-<왕복 13분 희양산>-희양산갈림길-(0:08)-성곽갈림길-(1:00)-성골
6.특기사항
①봉암사(鳳岩寺 구산선문): 음력 사월초파일(석가탄신일)에만 개방하는 사찰
②희양산 등산로 중 은티마을 쪽의 지름티재는 봉암사 스님이 원천봉쇄 함
그러나 성곽갈림길은 통제 안 함. 봉암사 쪽은 봉쇄.
③원 산행은 성곽갈림길에서 지름티재 거쳐 봉암사로 하산할 예정이었으나
은티마을에서 길을 잘못 들어서 주치봉(683m) 안부로 올라서서 다소 긴 산행을 했음.
-덕분에 구왕봉 2회 산행하면서 적은 졸시
구왕(九王)아 니가 잘나 또 왔더냐
내가 못나 너 보러 왔더냐
인연되어 다시 왔네
이다음에 또 인연되면 다시 오리
④전날(5월 7일) 폭우로 많은 양의 물이 흘러내림→진행에 어려웠음.
7.경 비
①마을버스: 320+270 / 지하철: 1,300 / 시외버스: 9,200+12,300 / 택시: 16,000
②신문: 600
③커피: 400
④합계: \40,390
[끝]
'백두대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25 (이화령→조령산→제3관문→월항삼봉→하늘재) 96.10.13~ 외 (0) | 2007.07.24 |
---|---|
백두대간 24 (은티마을→성곽갈림길→이만봉→백화산→이화령) 01.06.17 외 (0) | 2007.07.13 |
백두대간 22 (은티마을→은티재→구왕봉→지름티재) 01.06.03 (0) | 2007.07.12 |
백두대간 21 (버리미기재→장성봉→은치재→은티마을) 01.05.20 (0) | 2007.07.11 |
백두대간 20 (늘재→청화산→조항산→대야산→촛대봉→버리미기재) 05.05.04~05 (0) | 2007.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