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정맥 자료
한남정맥(漢南正脈)
자료
1. 한남정맥이란?
한남정맥이란 백두대간이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면서 속리산 천황봉(1,508m)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하여 칠장산(492m)으로 내려오다가 이곳에서 다시 금북정맥과 한남정맥이 나누어진다. 한남정맥은 칠장산(492m)에서 시작하여 북서쪽으로 이어지면서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한다.
이 산줄기를 이루고 있는 산들은 도덕산(366m), 국사봉(440m), 달기봉(415m), 구봉산(456m), 함박산(349m), 부아산(403m), 할미성(349m), 형제봉(448m), 광교산(582m), 백운산(564m), 수리산(469m), 수암봉(398m)을 넘으며 김포평야의 낮은 등성이와 들판을 누비다 계양산(395m)과 가현산(215m)을 지나 강화도 앞 문수산을 지나 김포반도의 끝 보구곶리에서 끝을 맺는다.
한남정맥 개념도
한남정맥 전체 개념도(뫼꿈이님 작품)
2. 한남정맥 종주기록
한남정맥 종주기록표 (1999. 9.25 ~ 2003. 4. 5) | ||||||
회차 |
날짜 |
종주구간 |
답사봉우리 |
시간 |
실제 |
경비 |
1 |
99.09.25 |
동막동→문수산성 |
4:00 |
7,800 | ||
2 |
00.05.05 |
문수초교→문수산→개곡리 |
문수산 |
5:20 |
10,000 | |
3 |
00.12.25 |
북문→문수산→48번국도 |
문수산 |
4:00 |
17,200 | |
4 |
01.01.23 |
문수사→문수산→것고개 |
문수산 |
7:30 |
6,100 | |
5 |
01.03.17 |
것고개→대명리 |
5:12 |
4,900 | ||
6 |
02.02.13 |
것고개→대곶(율생3리) |
3:16 |
9,990 | ||
7 |
02.03.02 |
율생3리→스무네미고개 |
수안산 |
3:21 |
6,090 | |
8 |
02.04.28 |
스무네미고개→신공항고속국도 |
필봉산외 |
5:25 |
6:30 |
6,940 |
9 |
02.05.01 |
목상동→백운역 |
계양산외 |
7:21 |
8:55 |
39,360 |
10 |
02.05.12 |
백운역→계수동도로 |
만월산외 |
7:20 |
8:10 |
4,940 |
11 |
02.06.09 |
계수동도로→금이동도로 |
양지산 |
6:08 |
9,290 | |
12 |
02.06.22 |
도리재→운흥산→모감 |
운흥산 |
3:24 |
15,190 | |
13 |
02.08.15 |
모감→수암봉→병목안 |
수암봉 |
4:00 |
5:14 |
27,800 |
14 |
02.09.08 |
충혼탑→수리산→의왕시청 |
수리산외 |
6:25 |
10:55 |
27,600 |
15 |
02.09.19 |
이동고개→지지대고개 |
오봉산 |
4:52 |
4,040 | |
16 |
02.09.20 |
지지대고개→광교산→망가리 |
백운산외 |
5:02 |
6:23 |
8,440 |
17 |
02.11.20 |
망가리→소실봉→연화장 |
소실봉 |
5:01 |
4,090 | |
18 |
03.01.30 |
연화장→신갈→아차지고개 |
3:12 |
4:04 |
12,040 | |
19 |
03.01.31 |
아차지고개→석성산→정신병원 |
석성산 |
4:37 |
4:45 |
3,720 |
20 |
03.02.23 |
정신병원→미리내마을 |
부아산외 |
8:29 |
8:50 |
11,170 |
21 |
03.03.16 |
고당리→두창리고개 |
3:25 |
11,790 | ||
22 |
03.03.30 |
두창리고개→구봉산→두둘기 |
구봉산외 |
5:45 |
14,150 | |
23 |
03.04.05 |
두둘기→칠장산[끝] |
도덕산외 |
2:23 |
2:25 |
5,470 |
합계 |
33개봉 |
127:25 |
268,110 |
3.한남정맥(漢南正脈) 산봉우리
순번 |
山(峰) 이름 |
표고(m) |
행정구역 |
특기사항 |
1 |
문수산 (文殊山) |
376.1 |
경기 김포 월곶면 |
삼각점, 헬기장, 군막사, 철대문 |
2 |
수안산 (遂安山) |
146.8 |
김포 대곶면 |
삼각점, 헬기장, 산불초소, 수안산성 |
※ |
필봉산 (筆峰山) |
132 |
김포 양촌, 인천 서구 |
참호, 전망 |
3 |
가현산 (歌鉉山) |
215 |
인천 서구 |
정상: 군부대(통제) |
※ |
계양산 (桂陽山) |
394.9 |
계양구 |
정상석, 철탑, 식수대 벤치,체육시설, 전망 |
4 |
철마산 (鐵馬山) |
226.5 |
계양구, 서구 |
무인대피소, 전망 |
5 |
원적산 (元積山) |
199 |
부평구, 서구 |
정상석, 공터, 전망 |
6 |
철마산 (鐵馬山) |
165 |
부평구, 서구 |
공터, 전망 |
7 |
만월산 (滿月山) |
187.1 |
남동구 |
삼각점, 팔각정, 전망 |
8 |
철마산 (鐵馬山) |
201 |
남동구, 부평구 |
정상: 군부대(통제) |
9 |
성주산(聖桂山):성계산 |
217 |
인천 남동구, 경기 부천, 시흥 |
정상: 군부대(통제) |
10 |
양지산 (陽支山) |
150 |
경기 시흥시 |
공터, 무 표시 |
※ |
운흥산 (雲興山) |
204.5 |
시흥시 |
삼각점, 전망 |
11 |
수암봉 (秀岩峰) |
395 |
안양시 만안, 시흥시 |
정상석, 암봉, 안테나 |
12 |
감투봉 |
184 |
경기 군포시 |
산불초소 |
※ |
오봉산 (五鳳山) |
205 |
의왕시 |
삼각점, 공터, 전망 |
※ |
백운산 (白雲山) |
564.2 |
의왕시, 용인 수지 |
삼각점, 공터 |
※ |
광교산(光敎山)시루봉 |
582 |
수원시 장안, 수지 |
삼각점, 정상석, 전망 안내문, 행정구역도 |
13 |
비로봉 |
488 |
수원시 장안, 수지 |
팔각정, 전망 |
14 |
형제봉(兄弟峰) |
448 |
수원시 장안, 수지 |
암봉, 전망 |
15 |
소실봉 |
186.3 |
용인 수지, 구성읍 |
삼각점, 공터, 전망 |
16 |
석성산 (石城山):성산 |
471.5 |
용인 구성, 포곡 |
삼각점, 정상석, 전망 사각의자2개, |
17 |
부아산 (負兒山) |
403.6 |
용인 이동면 |
삼각점, 공터, 운동구 |
18 |
함박산 (函朴山) |
349 |
용인 이동면 |
철탑, 작은정상목 |
19 |
문수봉 (文殊峰) |
404.2 |
용인 원삼면 |
삼각점, 팔각정 이정표, 공터, 전망 |
20 |
구봉산 (九峰山) |
465 |
용인 원삼면, 백암면 |
정상표시 막대기 |
21 |
달기봉 |
413 |
용인 백암면, 안성 보개면 |
정상표시 막대기 |
22 |
상봉 |
340 |
안성 보개면, 삼죽면 |
무 표시 |
※ |
국사봉 (國師峰) |
438 |
안성 보개면, 삼죽면 |
무 표시 |
※ |
뒷산 |
271.6 |
안성 삼죽면 |
무 표시 |
23 |
도덕산 (道德山) |
366.4 |
안성 삼죽면, 죽산면 |
삼각점 |
24 |
관해봉 |
456 |
안성 삼죽면, 죽산면 |
무 표시 |
25 |
칠장산 (七長山) |
492.6 |
안성 삼죽면, 금광면, 죽산면 |
삼각점, 헬기장, 전망 |
※표시는 정맥에서 벗어난 산봉우리 표기
3.한남정맥(漢南正脈) 도엽명
1. 1/50,000 지형도 (6매)
-김포, 인천, 안양, 수원, 용인, 안성.
2. 1/25,000 지형도 (12매)
-옥림, 통진, 계산, 인천, 소사, 안양, 군포, 수원, 용인, 좌항, 안성, 죽산.